분류 전체보기 904

경인운하 – 경인아라뱃길 – 정서진

(2021.12.29 & 30) 경인운하(경인아라뱃길) 경인운하는 강화해협인 염하강(鹽河江) 손돌목이 급류인데다 암초가 많아 한강으로의 빠르고 안전한 해운을 위해 고려 때부터 굴포천(掘浦川)을 운하로 개발하려하였으니 중간에 암반층(지금의 안개협곡인 아라마루 전망대와 아라폭포 지역으로 계양산의 자락)이 있어서 포기하였다고 한다. 벌말교와 귤현대교 주변 벌말교 주변에는 조각공원 있고 귤현대교 뒤로는 인천과 부천 그리고 김포일대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전망이 좋은 계양산(桂陽山, 395m)이 있으며, 계양산 자락이 오른쪽 김포로 이어지는 곳에 운하의 협곡이 있다. 경인운하를 놓고 근대에는 1965년부터 건설의 타당성 여부를 놓고 논란만 거듭되다가 2008년에 이명박 정부가 타당성이 있다고 결론지어 2009년에 ..

인천 2021.12.31

한탄강 주상절리길 잔도

(2021.12.7.) 한탄강 주상절리(柱狀節理) 길 잔도(棧道) 한탄강은 언제 어디였는지는 몰라도 화산이 폭발하여 용암이 흘러가면서 형성된 협곡이라는 것은 누구라도 아는 상식이고, 주상절리는 용암이 굳으면서 형성된 다면기둥을 말하는데, 내가 본 주상절리 중에서는 무등산의 서석대와 제주도 중문 대포동 일대의 주상절리가 가장 아름다워 보였다. 내레이션은 순담 게이트에서 출발하여 순담 스카이전망대 – 철원한탄강 스카이전망대 – 드르니 스카이전망대 – 드르니 게이트 순으로 나열하는데, 잔도를 답사할 때는 필히 입구에 비치되어있는 팸플릿을 챙겨 보면서 답사를 하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순담계곡(蓴潭溪谷) 우선 철원군과 강원도의 용단을 높게 평가하고 싶다. 꽤 많은 비용이 드는 사업이어서 수지타산과 채산성 그리..

오봉산 여성봉

(2021.8.7) 여성봉 지난여름에 우이령 길과 오봉산 석굴암을 다니다가 문득 여성봉 생각이 나서 내 블로그를 확인해보니 없다. 다닌 곳을 모두 다 블로그에 올린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조금 섭섭해서 사진을 찾아보니 사진도 없다. 떡 본 김에 제사 지낸다고, 생각난 김에 푹푹 찌는 날에 이열치열 겸 혼자서 하늘하늘 다녀와서는 또 잊어버리고 있었다. 버스정류장에서 오봉탐방지원센타 가는 길 72보병사단정류장에서 내려 오봉탐방지원센터로 가는 길의 들머리에는 이렇게 아주까리가 예쁘게 익어가고 있었고, 이내 둘레길 “송추마을길”이 나타난다. 오봉탐방지원센터까지 약 1km 정도라니 오늘은 모두 합해서 6km 정도를 걷게 되겠다. 오봉탐방지원센터 바로 옆에 송추계곡이 있는 곳이다. 오늘은 여성봉까지만 올라가서 잠시 ..

북한산 & 주변 2021.12.20

고려왕릉 길의 이규보 묘와 향교 그리고 길정지와 국화지

2021.11.17 & 27 보리밭 강화도 고려왕릉 길에는 보리밭이 있고, 언제부터인가 청보리라는 말이 유행이다. 나 어렸을 때에는 그런 말이 없었다. 그냥 보리라고 했고, 보리는 밀과 벼와 마찬가지로 당연히 푸르고 여린 싹으로 시작하여 여물어가면서 누렇게 변해가는 곡식이기 때문이었을 거다. 추가접종 또는 3차 접종보다 부스터 샷이 더 멋있어 보이는 거 같은 효과일까? 보리죽도 제대로 못 먹었던 시절도 있었다지만, 보리농사는 거의 사라졌다. 그래도 이렇게 박물관 같은 보리밭이 있고, 어떤 지방에서는 봄에 보릿국을 끓여먹으며 맛있다고 하는데, 내 입에는 별로였던 걸 보면 음식을 맛으로만 먹는 게 아니라 추억도 함께 먹는 것 같다. 이규보(李奎報, 1168∼1241년) 묘 강화도의 고려왕릉 중 가릉, 석릉,..

강화도 2021.12.13

강화도의 고려 왕릉

2021.11.17 & 27 희종(熙宗)의 석릉(碩陵) 고려 제21대 왕 희종(1181∼1237년, 재위1204∼1211년)은 무신정권의 실세인 최충헌(崔忠獻, 1149∼1219년)이 마음대로 왕을 폐립하던 시기에 최충헌에 의해 폐위되어 강화 교동도로 유배되어 용유도에서 생을 마감하였다고 하며, 능은 강화도 양도면 길정리 산182번지에 있다. 어두고인돌 희종의 석릉 가는 길 초입의 왼쪽에는 이런 어설픈 고인돌이 있다. 원덕왕후(元德王后)의 곤릉(坤陵) 원덕왕후 유씨(元德王后 柳氏, ? ~ 1239년)는 고려 제22대 왕 강종(康宗, 1152∼1213년, 재위1211∼1213년)의 왕비로, 능은 강화군 양도면 길정리 산75번지에 있는데 능 입구와 주변이 사유지인지 안내표지가 없다. 고종(高宗)의 홍릉(洪陵..

강화도 2021.12.08

고려의 마지막 왕 공양왕릉 & 최영 장군 묘

2021.10.29  공양왕(恭讓王) 왕요(王瑤) 고려(918∼1392. 474년)의 제34대 마지막 왕 공양왕(1345∼1394. 재위 1389∼1392. 본명 왕요)은 자신의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처참하게 몸부림을 쳤지만 결국은 천수를 누리지 못하고 살해된 고려의 마지막 왕이 되었다. 죽음의 그림자는 이성계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 1388년)에서부터 시작되어 같은 해에 충신이자 명장이었던 최영(崔瑩. 1316∼1388) 장군이 참형됨으로써 그 모습이 확연히 드러난 거 같다. 사실 이런 일들이 일어나게 된 단초는 왕손(王孫)이 아닌 신돈(辛旽)의 자식이었던 제32대 우왕(禑王. 1365∼1389. 재위 1374∼1388)이 원나라와 명나라 그리고 왜(倭) 등 혼란한 주변정세 때문에 군대를 움직이는 명..

경기도 2021.12.01

증미산 - 가로공원 - 궁산

2021년 11월 증미산(拯米山) 증미산은 한강을 접하고 있는 해발 55m인 나지막하고 작은 산으로, 산 이름의 유래는 세곡(稅穀)을 실은 배가 서해 바다를 지나 한강으로 올라오다 증미산 앞 도깨비 바위 암초에 좌초되어 수몰된 곡물을 건졌다고 하여 “건질 증” 과 “쌀 미”를 합하여 증미산이라 하였다는데, 근래에는 염창동(鹽倉洞)에 근거한 “염창산(鹽倉山)” 운운하기도 한다. 정상에는 팔각정과 흔들의자 그리고 벤치 등이 있으며 한강과 하늘공원 및 노을공원이 시원스럽게 보이며 북악산과 북한산도 조망된다. 황금내근린공원 증미산과 궁산 사이에는 한강과 올림픽대로를 따라서 이런 근린공원이 3개나 이어져있으며 잣나무 숲도 있다. 허준근린공원의 호수공원 이만한 공간이 그나마 근린공원이라는 이름으로 살아남은 것은 의..

일상속에 2021.11.23

제부도(濟扶島) 화성지질공원

2021.9.27 & 11.12  제부도의 매바위 & 요트 제부도는 화성지질공원으로 해안선이 약 5.3km이고 인구는 300여 가구에 600여명이라는데 어업이나 농업 등을 하는 사람은 거의 보이지 않고 카페 마트 펜션 식당 등 상인들이 절대다수인 거 같다.        제부도 모세 길 제부도는 간만에 따라 육지였다가 섬이 되는 야누스의 땅으로 드나드는 길은 이런 모습이며, 길의 양쪽 끝에 있는 통제소에서 출입을 통제한다.         해상 케이블카 화성시 서신면 제부리와 장외리간 2.12km를 연결하는 것으로, 11월 개통을 목표로 시험운행 중인데, 제부도 길에 또 하나의 매력이 더해질 거 같다.         요트제부도 마리나에도 이렇게 요트들이 가득하다.물론 상업용도 있겠지만, 하여간 여의도 마리..

경기도 2021.11.17

영흥도(靈興島)

2021.9.27  영흥대교(靈興大橋) & 하늘고래 전망대 영흥대교는 국내기술로 건설된 최초의 해상 사장교(斜張橋)로, 길이 1,250m, 너비 9.5m, 왕복 2차선으로 1997년 8월 착공하여 2001년 11월 준공하였다고 하며, 이후 우리의 사장교 기술은 서해대교와 인천대교를 구현하였다. 하늘고래 전망대는 진두선착장을 조금 지난 곳에 그냥 볼거리로 만들어둔 것 같은데, 세월이 흘러 이야기들이 쌓이다보면 랜드-마크가 될지도 모르겠다.       수협직판장 & 진두선착장 위 사진에서 직진하면 하늘고래 전망대를 거쳐 십리포 해수욕장 등 영흥도를 돌아보는 길이고, 오른쪽으로 조금 가면 수협직판장과 진두선착장이 나온다.       하늘고래 전망대이런 색깔의 고래도 있으면 좋을 거 같다.       십리포(十..

인천 2021.11.14

선재도 & 시화호방조제

2021.9.27  빛의 오벨리스크(Obelisk)오벨리스크는 원래 사각형의 석주(石柱)형 첨탑(尖塔)으로 종교적 헌사, 전승, 왕의 위업 등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던 것인데, 조형작가 이성환은 기존의 고정관념을 깨고 원뿔형 오벨리스크에 “조수(tide) + 빛(light) = 조력발전”이라는 개념을 담은 것이라 한다. 의욕은 충분히 이해가 되지만 20줄 가까운 설명이 다소 의아하다.     시화호방조제(始華湖防潮堤)시화호방조제는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안산시 단원구 대부동 사이를 연결하는 방조제로 1987년에 착공하여 약 7년에 걸쳐 완공되었다는데, 말도 많고 탈도 많은 곳 중의 하나다. 시화호방조제의 “방조제(防潮堤)”를 이해하려면 “간석지(干潟地), 조석(潮汐), 조류(潮流), 조력발전(潮力發電) ”등..

인천 2021.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