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904

딜쿠샤(Dilkusha) & 권율 장군 집터

2022.3.2 딜쿠샤에 대한 얘기를 사진작가 “단천(丹泉)”님으로부터 들었다. 좋은 사진과 자세한 설명은 단천님의 블로그 “단천블로그(blog.daum.net/nada249/772)”를 참고하고 아래의 동영상도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딜쿠샤 이야기 딜쿠샤(Dilkusha)는 페르시아어로“기쁜 마음”이라는 뜻이라고 하며, 테일러 부부가 살았던 집이다. 미국 남자(앨버트 와일더 테일러)와 영국 여자(메리 린리 테일러)가 일본 요코하마에서 만나 사랑에 빠져 인도에서 결혼식을 올리고 한국에서 신혼생활을 시작한다. 테일러 부부는 여러 활동을 하지만, 그 중에서도 AP통신원으로 대한민국의 독립운동을 세계만방에 알리고 독립을 지지하는 활동을 하다가 남편인 앨버트 W. 테일러는 일제로부터 강제 추방을 당하여 미국에..

서울 & 주변 2022.03.06

파주 심학산 약천사 & 법선사

2022.2.19 파주 심학산(尋鶴山) 약천사(藥泉寺) 파주 심학산은 오래 전부터 트레킹을 가려고 지도 검색을 하면서 살펴두었던 곳인데 하늘이 흐리더니 마침내는 눈발이 날리던 날에 둘러보았다. 약천사는 고려에 뿌리를 둔 긴 역사를 가진 사찰이지만 아담한 대웅전(위 사진)의 모습으로 미루어 짐작컨대 사세가 미약하게 시작하였으나 근래에 주변이 개발되면서 사세가 뻗어나가고 있는 것 같다. 아래 사진은 대웅전 내부와 전각보다 더 큰 대불의 모습인데, 언제부터인가 마치 경쟁이라도 하듯이 대불(大佛)을 만드는데, 그렇게 만들어진 부처에게도 신통력이 있고 그런 신통력이 불상의 크기에 비례하는지도 모르겠다.         약천사 전경 이렇게 대불이 약천사 전체를 압도하고 있으며, 지장보전을 약천사로 들어가면서 보면 “..

경기도 2022.02.28

졸업식 & 입학식

2022.2.25 유치원 졸업식 시간 참 빠르게 잘도 간다. 졸업과 입학 시즌이다. 손주 셋 중에서 첫째인 외손주가 유치원을 졸업하고 며칠 후면 초등학교에 입학한다. 유치원 졸업식을 마쳤으니 큰 벼슬 하나 딴 것이고 이를 기념하여 오찬파티를 가지며 쉼표 하나 찍는다. 라테는 도시는 달랐겠지만, 농촌에서 자란 나와 그 양반은 유치원이 뭔지도 모르고 자라다가 국민학교에 입학했었는데 지금은 유치원 전단계로 어린이집까지 있고 이런 교육과정이 선택인 경우도 있고 선택이 강요된 경우도 있다. 어제 소천하신 한국의 큰 별 중의 하나였던 이어령 선생은 평창동 영인문학관에서 강의를 하시던 중, 가방을 메고 유치원을 다녔다고 술회하신 적이 있었다. 내게는 거의 아버지뻘의 세대인데도 유치원을 다녔으니 페스탈로치는 세상을 멀..

일상속에 2022.02.27

COVID-19 & Super children

COVID-19 때문에 전 세계가 몸살을 앓고 있다. 그동안 인류가 경험해왔던 전염병의 대강을 보자면, 페스트로 인해 크게 알려진 것만으로도 유럽 인구의 1/3 정도가 사라졌다고 하고 콜레라는 중국과 영국에서 확산되다가 진정되었고, 스페인독감으로 수십만 명이 사망하였으며, 근래에는 사스와 메르스가 있었지만 금방 잠재웠는데, COVID-19는 정점이 어디인지 언제 제압이 될지 아무도 모르는 불확실성 때문에 불안과 공포가 더 커지는 것 같다. 예방도 치료도 뚜렷한 게 없으니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이라고는 그나마 정부와 의학계에서 권고하는 위생수칙이라도 잘 지키는 게 상책인 거 같다.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무엇보다 “밀접접촉과 밀폐공간”을 피하는 게 가장 중요할 것 같은데, 사회활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그게 쉬..

일상속에 2022.02.20

여의도의 터키 앙카라공원

2022.2.9 & 2.11  서울 여의도의 터키 앙카라공원(위) & 터키 앙카라의 한국공원(아래)터키의 앙카라에 있는 “한국공원”에는 “한국참전토이기기념탑”만이 달랑 하나 있지만, 서울 여의도 샛강역(전철 9호선) 3번 출구 앞에 있는 “터키 앙카라공원”에는 자매결연표지판과 함께 조형물과 터키 전통포도원주택 등이 있다.        샛강생태공원목적지야 그 양반이 가보지 못한 앙카라공원이어서 샛강역에서 내리면 편하지만, 당산역에서부터 셋강생태공원을 산책하며 걸어서 간다. 이 계절의 국회의사당과 서울마리나의 모습이고 샛강생태공원에서 샛강다리로 오르내릴 수 있으며 땅에서는 새싹들이 부지런히 올라오고 있다.        전철 9호선 샛강역 3번 출구터키는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된 한국전쟁..

서울 & 주변 2022.02.13

난지한강공원

2021.11.26. & 12.3  난지도(蘭芝島)의 유래 난지도는 원래 오리들이 많아서 오리섬 또는 압도(鴨島)라고 했다가 난초(蘭草)와 지초(芝草)가 많아 아름답게 어우러진 풍경이어서 난지도라 했다고 한다. 그렇게 아름다웠던 난지도가 1978년부터 15년간 서울시 쓰레기매립장으로 사용되어 약90m에 이르는 2개의 쓰레기 산이 되었는데, 이를 잘 가꾸어 아름다운 공원으로 변신하여 산림녹화와 더불어 쓰레기 처리의 세계적인 성공사례가 되어 외국에서 견학을 오는 명소가 되었다. 난지도 이전의 쓰레기매립장은 잠실 구의동 상계동에 있었다는데, 지금은 모두 아파트단지가 되어있다.        난지한강공원 가는 길대중교통으로 가려면 난지한강공원 가는 버스를 타서 하늘공원과 노을공원을 가르는 도로가 있는 이곳에서 내..

서울 & 주변 2022.02.06

설날

설날이다. 영원한 것은 시간이고 모든 것은 시간위에 존재하지만 시간은 요술쟁이다. 이 녀석들 때문에 이렇게 행복할 줄 누가 알았겠는가! 막내인 손자 녀석인데 지난 해 가을에 태어나서 이젠 제법 눈을 잘 맞추고 옹알이도 하며, 놀리면 자지러지게 웃는 게 우습기만 하다. 제가 뭘 안다고..... 스킨십이 부족해서겠지만 낯가림을 조금 하려고 해서 아쉽기는 하지만..... 두 번째 손녀인데 2년 8개월짜리 3살이다. 어린이집에서는 이 나이도 고령인지 금년에는 상급반(?)으로 올라간다는데 말이 청산유수고 소통이 잘돼서 지가 뭐나 되는 양 휘젓고 다니는 장난꾸러기다. 첫 번째 외손녀인데 6년 7개월짜리 7살이다. 유치원을 졸업하고 금년에 초등학교에 들어간다고 잔뜩 꿈에 부풀어있는데 코로나 돌아가는 상황이 심상치 않..

일상속에 2022.02.01

일산 호수공원의 개골풍경(皆骨風景)

(2022.1.15) 정지용의 “호수”일산 호수공원에는 2개의 호수가 있다.하나는 눈을 가득 채우는 호수이고, 다른 하나는 정지용 시인의 “호수”인데. 눈에 보이는 호수는 그만한 호수지만, 정지용의 호수는 어림이 잘 안 된다. 정지용의 호수, 참 멋진 시다.        전통정원 & 북쪽 연꽃지역제2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전통정원에서부터 시계바늘 반대방향으로 둘러본다.        호수의 개골풍경(皆骨風景)연꽃들과 데크길이 있는 이 지역이 운치 있는 곳인데 수심이 낮아서 결빙이 되었다.        월파정(月波亭)호수 안의 유일한 인공 섬이자 호수를 건너다닐 수 있는 두 곳 중 한 곳으로 정자를 한 바퀴 돌면서 다양한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곳이다.        전망대북쪽으로는 월파정과 섬의 모습이 한눈에..

경기도 2022.01.23

서울식물원 – 주제원(主題園)

(2021.10.26) 서울식물원 주제원의 진달래와 곰돌이 서울식물원은 2018년 10월 11일부터 시민에게 개방을 하였고, 2019년 5월 1일부터 정식개원을 하였는데, 식물원 중 온실을 포함한 일부 구역을 주제원(主題園)으로 하여 입장료를 받는다. 주제원은 한자어 그대로 주제가 있는 정원 또는 동산을 의미하는데 표현이 좀 우습기도 하다. 매표소 & 온실 전경 매표소에는 “주제원 Botanic Garden”이라고 쓰여 있어서 짐작은 되지만, 주제원이 무슨 뜻이냐고 물었더니 “주제가 있는 정원”이라고 해서 웃었고, 6세 미만의 유아와 65세 이상의 어르신은 무료로 입장할 수 있으며 온실의 전경은 이런 모습이다. 온실 입구 & 출구 1층에서 입장하여 온실 내부를 돌아보고 승강기로 2층으로 올라가서 구름다리..

서울 & 주변 2022.01.16

서울식물원 - 보타닉 가든

(2021.10.26.∼28) 식물문화센터 서울식물원을 대중교통으로 접근하는 방법은 전철 9호선 마곡나루역 또는 양천향교역 그리고 전철 5호선 마곡역이 편리하며, 식물문화센터에는 안내소 및 관리센터, 온실, 카페 등이 있다. 습지원 & 한강전망데크 나는 양천향교역에서 내려 식물문화센터에 잠깐 들렀다가 북쪽 한강과 접하고 있는 습지원과 한강전망데크부터 둘러본다. 습지원 호수 & 공항철도 북쪽의 한강으로 흘러드는 습지원의 호수는 남쪽의 호수원에 비하여 아담하지만, 이 길을 통해 한강과 주변을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에 이르며, 인천공항으로 가는 공항철도가 서울식물원을 관통하는데, 바로 이 습지원에서 지하로 들어간다. 한강전망데크 & 주변 풍경 올림픽대로를 건너 한강과 만나는 곳에 전망데크가 있어서 주변을 시원..

서울 & 주변 2022.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