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904

수로부인 헌화공원

(2024.12.13)(사진은 클릭하면 커집니다.) 수로부인(水路夫人)과 순정공(純貞公) 보각국사 일연(普覺國師 一然)이 쓴 삼국유사(三國遺事, 13세기)의 설화에 나오는 이야기로 삼척시와 수로부인 헌화공원에서는 순정공(純貞公)에 포커스를 맞춰 얘기를 하고 있는 것 같은데, 순정공은 신라 성덕왕(聖德王, 신라 제33대 왕, 702∼737년) 때의 관료로 그의 부인 수로(水路)와 함께 강릉태수로 부임하는 길에 일어나는 이야기인데, 순정공은 인터넷에서 검색이 안 된다.   수로부인에 대한 또 하나의 이야기는 가락국(駕洛國)의 구지가(龜旨歌)를 기반으로 신라에서 만들어진 이야기라는 것으로 구지가에는 금관가야의 수로왕(首露王, 금관가야 초대왕, 42∼199년)이 나오고 내용도 비슷하여 수로왕은 首露 그리고 부인..

강원도 2024.12.22

삼척도호부(三陟都護府) 죽서루(竹西樓)

(2024.12.13)(사진은 클릭하면 커집니다.) 누정(樓亭)과 죽서루(竹西樓) 우리나라 누정(樓亭)은 누(樓), 대(臺), 각(閣) 그리고 정(亭)으로 대별되는 것 같으며, 정자(亭子)가 대부분 개인 소유의 사적인 공간인데 반하여 누각(樓閣)은 개인 소유와 관청에 부속되어 주변의 수려한 풍광과 함께 공공연한 시회(詩會)나 연회를 열어 풍류(風流)를 즐겼던 열린 공간이다.   평양 대동강의 부벽루와 진주 남강의 촉석루 그리고 밀양 밀양강의 영남루를 일컬어 3대 누각이라 하고, 남원 요천강(蓼川江)의 광한루를 더하여 4대 누각이라 한다는데, 오십천(五十川)을 바라보고 있는 죽서루 또한 이런 누각들 못지않은 위치와 풍모를 갖추고 있는 것 같다.   누각과 물은 마치 바늘과 실처럼 짝을 이루어 모든 누각은..

강원도 2024.12.18

소래습지생태공원 & 소래포구

(2024.11.18)(사진은 클릭하면 커집니다.) 소래습지생태공원 - 개펄 물과 습지는 생명의 원천이자 보고다.그런 생명의 원천이자 보고의 한 형태인 개펄이 주로 서해안에 펼쳐져있고, 소래습지생태공원도 그 중의 하나로 개펄의 물골을 건너 공원으로 가는 소염교를 건너면서부터 개펄이 펼쳐지는데, 물때에 따라 풍경과 느낌이 달라진다. 주차를 하고 공원을 둘러볼 때는 썰물이었는데, 소래포구를 둘러보고 돌아오니 밀물이어서 두 얼굴을 모두 보았다.      소래습지생태공원 전시관 소래습지생태공원 전시관은 월요일이 휴관일이라는데, 내가 간 날이 하필 월요일이어서 전시관은 둘러보지 못했고 가지고간 따끈한 차를 한 잔 마셨다.      산책로 & 소래포구 산책로는 이렇게 데크길도 있고 흙길도 있다. 이렇게 공원 산책을..

인천 2024.12.15

용왕산(龍王山)의 설경

(2024.11.27∼28)(사진은 클릭하면 커집니다.) 폭설 폭설이 내렸다.빨랫줄이 굵은 동아줄이 되었다. 11월 기준으로는 117년만의 폭설이라고 하고, 겨울 기준으로는 58년만의 폭설이라는데 설경이 그야말로 그림이다. 유난히 따뜻한 가을이어서 컬러풀한 단풍이 남아 있는데 폭설이 더해져 좀처럼 보기 어려운 진풍경이 연출되었으니 한 꼭지 남겨둬야겠다.   그러나 멋진 진풍경만 있는 것은 아닌 것 같다. 비가 내리다가 기온이 내려가면서 눈으로 변한 습설(濕雪)로 11월 27일과 28일에 내린 강설량(降雪量)이 대략 40cm 정도 되다보니 눈의 무게와 미끄럼 때문에 크고 작은 사고들이 많아 6명이 사망했다고 하니 재난 수준이다.      용왕산(龍王山) 용왕정(龍王亭) 용왕산은 도시개발이 되면서 이리저리..

서울 & 주변 2024.12.06

삼성산 & 서울대 관악수목원

(2024.11.10)(사진은 클릭하면 커집니다.) 삼성산(三聖山)의 단풍 고교동문 산악회 산행이다.다른 일도 있어서 빠지려고 했는데 회장을 맡고 있는 친구가 머리수 좀 채워달라고 으름장을 놔 할 수 없이 끌려갔지만, 역시 산은 산이다. 내발로 왔건 끌려왔건 산에 오니 상쾌한 바람 마시며 단풍 구경한다.      서울대와 관악산 무장애숲길 신림선 관악산역에서 집결하여 서울대와 관악산 무장애숲길을 걸어 무너미 고개로 가는데, 문득 서울대는 축복을 많이 받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도심에 있는 학교에 비해 교통은 다소 불편하고 방향이 북향인 것은 있지만, 관악산 자락의 숲속에 자리 잡아 철따라 계절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으니 말이다.       사이쉼터에서 바라보는 서울대와 관악산 서울대를 감싸고 있는 3개의 ..

서울 & 주변 2024.12.01

에어비앤비(Airbnb)

에어비앤비는 Air Bed and Breakfast를 줄인 말로, 전 세계에 걸쳐 홈스테이(Home stay)를 연결하는 숙박공유 네트워크라고 합니다. Bed and Breakfast와 Home stay 그리고 우리의 민박이 진화한 것 같은데,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라고 합니다.저는 처음 접해보는 문화여서 블로거님들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1. 에어비앤비 용도로 사용하겠다는 임차인(에어비앤비 사업자)에게 집을 임대할 경우 임대인에게 발생하는 장단점   2. 임대인이 임대차계약서에 특약사항으로 반드시 챙겨야 할 사항 3 기타 고려해야 할 사항 블로거님들의 고견을 고대하겠습니다.^^  용왕산의 설경이 멋집니다.간밤에 첫눈으로 내린 눈이 대략 20cm 정도여서 설경을 담아보았습니다.

일상속에 2024.11.27

Wedding Anniversary(결혼기념일)

(2024.10.29)(사진은 클릭하면 커집니다.)   신탄리역 – 백마고지역 – 백마고지전적지 – 철원노동당사 – 철원역사문화공원 – 소이산 – 도피안사 – 학저수지 – 고석정 생일날에는 나에게 이 세상구경을 시켜준 부모님께 감사드리는 날이고, 결혼기념일에는 내 삶의 반쪽을 채워준 배우자에게 감사드리는 날이다. 해서 결혼기념일에는 지리산종주도 했고 외국여행도 하는 등 특별한 날로 만들면서 살아왔는데, 이번 41주년에는 맛있는 음식을 먹으며 철원을 둘러보았다. 세월 참 잘도 간다. 신탄리역(新炭里駅) 고대산(高臺山, 832m)을 즐겨 다니던 시절에는 의정부에서 신탄리행 기차를 타고 다녔는데, 지금은 기차 운행을 중단하고 대체 운송버스를 운행한다는데 주민들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고대산과 고대산 역고드름을 ..

강원도 2024.11.23

파주 화석정과 율곡습지공원 & 임진각

(2024.10.27)(사진은 클릭하면 커집니다.) 화석정(花石亭) 한동안 뜸했으니 아내를 위해 어딘가로 콧바람을 쐬러 가야하는데, 자유로를 시원하게 달려가는 게 좋겠다고 생각해서 파주 쪽을 선택했다.시월상달의 화석정과 임진강 그리고 두포리다리와 초평도(草坪島)는 단풍이 물들어가는 이런 모습인데 자잘한 이야기들은 내 블로그에 “반짝피서 : 임진강 장산전망대 & 화석정(‘24.8.14)”와 “초평도와 장산전망대 그리고 화석정(’20.3.14)”에 올렸으므로 생략하고 특별한 이야기 하나만 올린다.   어려서부터 신동이라 불렸던 율곡 이이(栗谷 李珥, 1536∼1584)가 8살 때 바로 이곳 화석정에서 지었다고 하고 시비가 세워져 있는 “팔세부시(八歲賦詩)”로 세상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하였다고 하며, 아홉 ..

경기도 2024.11.16

홍제천((弘濟川) 인공폭포

(2024.10.24)(사진은 클릭하면 커집니다.) 홍제천의 유래 홍제천은 이 지역에 중국 사신들을 위한 역원(驛院)인 홍제원(弘濟院)이 있었던 것에서 유래하였다고 하며, 모래가 많은 하천이어서 모래내라고도 했다. 평창동에서 발원하여 망원동에서 한강으로 흘러드는데, 홍제천 주변에도 이 인공폭포를 비롯하여 산책로와 소공원 등이 잘 단장되어 있다.   이곳에 인공폭포가 있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가끔씩 지나다니면서도 그다지 눈에 확 들어오지는 않아 무심했었는데, 어느 날 인터넷에 뜬 사진을 보니 아주 멋지다. 그래서 아내와 함께 야경까지 보자고 느지막이 길을 나섰다.     안산(무악산) 자락의 홍제천 인공폭포 연대 앞에서 버스를 갈아타고 서대문구청 앞에서 내려 몇 걸음 걸으니 안산(鞍山, 이명 무악산 毋..

서울 & 주변 2024.11.11

운길산 수종사(雲吉山 水鐘寺)

(2024.10.15)(사진은 클릭하면 커집니다.) 운길산 수종사 이번에는 꽤 오랜만에 수종사를 둘러봤다. 양수리에 연고가 있어서 자주 들렀는데, 그렇게 자주 다니면서도 블로그에는 올리지 않은 게 참 묘한 일이다. 그래도 사진은 있으려니 하고 찾아보니 사진도 없다. 아마도 얼큰했던 날에 뭔가 마음에 안드는 게 있어서 블로그 글도 사진도 모두 지워버렸던 모양이다.   날씨가 흐린데다 핸드폰으로 솜씨도 없어서 사진작가 丹泉님의 사진을 대문사진으로 올린다.     수종사 가는 길 수종사를 시시때때로 다니면서도 특별한 생각 없이 다녔는데, 오늘 올라가면서는 길이 꽤 험하다는 생각이 들며 강화도 적석사가 떠올랐다. 수종사와 적석사 모두 올라가는 길이 꽤 험하다.   수종사 초입에 있는 느티나무와 느티나무를 감고 ..

경기도 2024.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