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80

일산 호수공원의 개골풍경(皆骨風景)

(2022.1.15) 정지용의 “호수”일산 호수공원에는 2개의 호수가 있다.하나는 눈을 가득 채우는 호수이고, 다른 하나는 정지용 시인의 “호수”인데. 눈에 보이는 호수는 그만한 호수지만, 정지용의 호수는 어림이 잘 안 된다. 정지용의 호수, 참 멋진 시다.        전통정원 & 북쪽 연꽃지역제2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전통정원에서부터 시계바늘 반대방향으로 둘러본다.        호수의 개골풍경(皆骨風景)연꽃들과 데크길이 있는 이 지역이 운치 있는 곳인데 수심이 낮아서 결빙이 되었다.        월파정(月波亭)호수 안의 유일한 인공 섬이자 호수를 건너다닐 수 있는 두 곳 중 한 곳으로 정자를 한 바퀴 돌면서 다양한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곳이다.        전망대북쪽으로는 월파정과 섬의 모습이 한눈에..

경기도 2022.01.23

고려의 마지막 왕 공양왕릉 & 최영 장군 묘

2021.10.29  공양왕(恭讓王) 왕요(王瑤) 고려(918∼1392. 474년)의 제34대 마지막 왕 공양왕(1345∼1394. 재위 1389∼1392. 본명 왕요)은 자신의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처참하게 몸부림을 쳤지만 결국은 천수를 누리지 못하고 살해된 고려의 마지막 왕이 되었다. 죽음의 그림자는 이성계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 1388년)에서부터 시작되어 같은 해에 충신이자 명장이었던 최영(崔瑩. 1316∼1388) 장군이 참형됨으로써 그 모습이 확연히 드러난 거 같다. 사실 이런 일들이 일어나게 된 단초는 왕손(王孫)이 아닌 신돈(辛旽)의 자식이었던 제32대 우왕(禑王. 1365∼1389. 재위 1374∼1388)이 원나라와 명나라 그리고 왜(倭) 등 혼란한 주변정세 때문에 군대를 움직이는 명..

경기도 2021.12.01

제부도(濟扶島) 화성지질공원

2021.9.27 & 11.12  제부도의 매바위 & 요트 제부도는 화성지질공원으로 해안선이 약 5.3km이고 인구는 300여 가구에 600여명이라는데 어업이나 농업 등을 하는 사람은 거의 보이지 않고 카페 마트 펜션 식당 등 상인들이 절대다수인 거 같다.        제부도 모세 길 제부도는 간만에 따라 육지였다가 섬이 되는 야누스의 땅으로 드나드는 길은 이런 모습이며, 길의 양쪽 끝에 있는 통제소에서 출입을 통제한다.         해상 케이블카 화성시 서신면 제부리와 장외리간 2.12km를 연결하는 것으로, 11월 개통을 목표로 시험운행 중인데, 제부도 길에 또 하나의 매력이 더해질 거 같다.         요트제부도 마리나에도 이렇게 요트들이 가득하다.물론 상업용도 있겠지만, 하여간 여의도 마리..

경기도 2021.11.17

안산 구봉도

2021.8.23 구봉도(九峰島)는 원래 안산시(安山市) 대부동에 속한 섬이었지만 바다를 매립하여 대부동과 연결되었으며, 구봉도 주변에는 바다낚시터(유료낚시터)와 펜션들만이 즐비하다. 이름 그대로 9개의 봉우리가 있어서 구봉도라는데, 가장 높은 곳이 해발 97m이며 손바닥만 한 섬에서 9개의 봉우리를 헤아리기도 만만치 않다.       이 지역의 바다는 보는 즐거움이지 즐기는 즐거움은 별로 없는 바다다.옛날에는 개펄에 들어가서 조개를 잡곤 했었지만, 어느 때부터인가 어촌계 양식장이라고 통제를 하고, 개펄체험비용을 내고 개펄을 뒤져본들 아이들에게 생태체험을 시켜주는 것으로 만족해야 하는 정도 같고..... 여행자에게는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선택사항이지만, 현지 어민들은 생업일 테니 서로가 그렇게 이해하..

경기도 2021.08.29

가평 용추계곡(龍墜溪谷) : 용추구곡(龍墜九谷)

2021.8.19 용추계곡은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승안리에 있는 계곡으로 칼봉산(909m)에서 발원하여 약24km를 흘러 가평천을 거쳐 북한강으로 흘러드니 지리산 피아골계곡(32km)에 버금가는 계곡으로, 길이에서는 아름답다는 백담계곡과 무릉계곡 등은 견줄 바가 못된다. 장장 24km를 흐르면서 와룡추(臥龍湫), 무송암(撫松巖), 탁영뢰(濯纓瀨), 고슬탄(鼓瑟灘), 일사대(一絲臺), 추월담(秋月潭), 청풍협(靑楓峽), 귀유연(龜游淵), 농원계(弄湲溪) 등 9개의 절경이 있어 용추구곡(龍墜九谷)이라고도 하며, 칼봉산에서 발원한다지만 “연인산(戀人山, 1,068m) 도립공원”에 포함되어 있다.       제1곡 와룡추(臥龍湫) 와룡추는 출입을 통제하고 있어서 멋진 자연의 풍경을 볼 수 있다.       제2..

경기도 2021.08.20

부천 원미산 진달래동산

(2021.4.1)   조금 늦었지만 그래도 부천 원미산(遠美山)의 아름다운 진달래동산을 건너뛸 수야 없는 거 아닌가. 원미산의 진달래와 벚꽃은 언제 봐도 장관이지만, 가까운 곳에 있어서 마음이 내킬 때 언제든 가볼 수 있어서 더욱 좋다. 1년여 동안 사람들에게 시달리지 않아서 그런지 올해의 진달래가 가장 화사한 거 같다. 오늘도 “최희섭 동산”으로 원미산을 오른다.최희섭(崔嬉涉, 1919~1998)과 최희섭 동산을 알고부터는 원미산에 오를 때는 최희섭 선생께 문안 인사도 드릴 겸 언제나 최희섭 동산으로 오른다. 최희섭 선생은 부천 토박이로 상당한 재력가였던 것 같으며 평생을 어려운 사람들과 소외된 사람들을 위한 봉사와 헌신으로 일관하였으며, 원미산 자락에 있는 “최희섭 동산” 일대의 땅을 부천시에 기부..

경기도 2021.04.10

여주 신륵사(神勒寺)

(2021.3.15.)   삼층석탑 & 강월헌(江月軒)신륵사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곳이다.이곳에서 남한강을 바라보노라면 마음이 편안해진다. 여주 신륵사도 원효가 창건했다는 설이 있고 창건 연대와 창건자가 누구인지 불분명하다는 설도 있는데, 하여간 현존하는 사찰의 상당수를 원효가 창건했다고 하니 원효가 신통력을 가진 승려였던가 보다. 하지만 내 생각으로는 원효는 요즘 표현으로 말하자면 정치 승려로, 요석공주의 남편이 되어 세도가 막강하니 별 볼 일 없는 사찰들이 생존하기 위해 족보도 내팽개치고 원효의 보호막 안으로 제 발로 걸어 들어갔던 것 아니었겠나 생각된다. 그 반증의 하나로“산사(山寺), 한국의 산지승원”이라는 타이틀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있는 7개의 사찰 속에는 원효가 창건했다는 사찰은 하..

경기도 2021.03.27

여주 이포보 & 당남리섬

(2021.3.15.)   이포보와 전망대 & 현수교이포보는 차량 통행은 못 하고 보행로와 자전거길이 있고 소수력발전을 하는 등 다목적 보로 전망대가 있는 동쪽의 모습이며, 아래 사진은 파사산성에서 자동차 길을 건너 이포보로 바로 갈 수 있는 현수교와 이포보의 모습이다.      동쪽 강둑동쪽의 강둑에는 “문화지킴이”와 “민족지킴이”라는 돌장승을 필두로 여러 장승과 익살스러운 돌 조각품들도 있다. 여주는 고울 麗려니 생각했는데 검다는 뜻의 가라말 驪인 게 특이하지만, 영릉(英陵, 세종대왕), 영릉(寧陵, 효종대왕), 신륵사, 명성황후생가, 고달사지, 파사산성, 이포보, 여주보, 강천보, 이포와 조포나루의 황포돛배, 서희 장군 묘, 목아박물관, 남한강 변을 걷는 여강길 등 명소가 많은 고장이다.      ..

경기도 2021.03.24

여주 파사산성(婆娑山城)

(2021.3.15.)   파사산성(婆娑山城) 파사산(해발 235m)과 파사산성의 파사(婆娑)가 참 재미있다.노파(老婆)라 할 때의 할미“파” 자에, 춤출“사” 자를 쓰고 있으니 말이다. 그러나 이런 이름을 가지게 된 연원에 대하여는 고대 파사국(婆娑國)의 옛터가 있었다는 설, 신라의 파사왕 때 쌓은 성이라는 설도 있는데 출토된 유물과 연대가 서로 맞지 않는다는 등 문헌사료는 없고 구전에 의한 것이라며, 둘레는 936m이고, 내부 면적은 약 3,966㎡이다.      파사산성 안내판이 있는 곳에서 파사산성 정상까지는 약 860m로 아주 가깝지만, 오르막인 경사로여서 20∼30분 정도 걸린다.      남문 남문 왼쪽인 서북쪽은 성벽 보수공사가 거의 완료되었고 동남쪽은 대부분이 허물어져 있다.성에는 보통 ..

경기도 2021.03.18

고양 서오릉(西五陵)

(2020.12.22.) 사적 제198호인 서오릉은 명릉(1), 익릉(2), 경릉(3), 홍릉(4), 창릉(5)이 있으며 장희빈의 묘인 대빈묘(6)도 있는 큰 묘역으로 동구릉(東九陵)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왕릉 묘역이다.      명릉(明陵)명릉은 숙종(肅宗)과 인현왕후의 능이 쌍릉으로 나란히 있으며, 명릉의 특징은 명릉에서 가장 서열이 낮은 인원왕후의 능이 별도로 왼쪽의 가장 높은 자리에 있는 거란다.      재실(齋室)제사를 준비하는 집으로 보통은 묘지기(능참봉)가 기거하였다.      수경원(綏慶園)      익릉(翼陵)익릉의 특징은 봉분에 병풍석을 생략하고 난간석을 둘렀으며, 석주가 아닌 동자석 상단부에 십이간지를 글자로 새겨 놓은 것이라 한다.      인성대군 초장지      순창원     ..

경기도 2021.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