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12.∼13)
(사진은 클릭하면 커집니다.)
양구 선사박물관
선사박물관(先史博物館), 이거 별로 재미없는 박물관이다.
민속박물관이나 자연사박물관은 그나마 조금 나은 편이지만 기록도 없었던 선사시대의 유물과 유적은 잘 알지도 못하는 진부한 옛날이야기들을 끄집어내야 하니 그런 거 같다. 하지만 여기까지 와서 양구 선사박물관을 지나칠 수야 없는 것 아닌가.
태초에 누구의 소유도 아니었던 자연에 금을 그어 내 땅 네 땅이 생겨서 자연을 소유하게 되었고 이것이 이른바 인간의 본능적 욕구의 하나인 사유재산제도(私有財産制度)인데 공산주의가 이걸 간과하여 실패하였으며, 이 소유개념으로부터 일부일처제(또는 일처일부제)가 유래되었다는 설과 공평한 분배개념으로부터라는 설 등이 있는데, 현실은 스마트한 손익계산을 하는 것 같다. 그러나 어쨌든 인류사에서 가장 성공한 사회제도는 일부일처제(일처일부제) 아닐까 생각된다.
![]() |
![]() |
![]() |
![]() |
전시물
인간의 손에 살상능력이 있는 도구 또는 무기가 쥐어지기 전까지는 다른 동물들과 평등하게 생존경쟁을 했을 텐데 그나마 협동을 통해서 많은 것들을 극복하지 않았을까 생각해보았다.
![]() |
![]() |
![]() |
![]() |
![]() |
![]() |
![]() |
![]() |
국토정중앙
양구의 국토정중앙은 동경 128도 2분과 북위 38도 3분이 만나는 지점이 한반도의 정중앙이라 하여 위와 같은 조형물이 설치되어있다는데, 주제는 “휘모리”로 팽이의 균형과 역동성을 표현했다고 한다. 천문대가 있는 주차장에서 국토정중앙까지는 약 1km 정도의 오솔길을 걸아야 하는데, 그 길에 있는 군 사격장에서 사격훈련 때문에 출입을 통제하고 있어서 올라가보지 못했다.
국토정중앙에 대한 다른 얘기로는, 대한민국 표준시의 기준으로 삼고 있는 국토자오선은 동경 127도 30분으로 평북 중강진에서 전남 여수까지 이어지며, 바로 이 자오선과 북위 38도선이 만나는 지점이 화천 화악산(華岳山, 1,468m) 정상 부근이라는 주장도 있기는 한데 이게 무슨 대수이겠는가! 남북으로 두 동강이 난 국토에 미국과 중국 그리고 북한이 기침하면 감기몸살이 나는 처지인데 말이다.
국토정중앙 가는 길 & 소지섭의 길
국토정중앙 가는 길의 주차장 광장에는 이런 “소지섭의 길” 표지판이 서있는데, 표지판을 철판으로 만들어서 녹슬어가는 아름다운 길들을 어필(appeal)하는 모양이다. 연예인 소지섭(1977년 서울生)은 두타연 등 양구의 민통선지역 51km를 배경으로 한 포토에세이집을 냈는데 국토정중앙 가는 길도 그런 길의 하나다.
이른 아침 식전에 갔더니 주차장 주변은 무서리가 자욱하고 사격훈련 때문에 국토정중앙에는 올라갈 수가 없어서 주차장 주변만 둘러보았다.
![]() |
![]() |
![]() |
![]() |
통계와 통계의 허실
최근 몇 년간의 1인당 국민소득(GNI)이 2020년에는 $32,004, 2021년에는 $35,523, 2022년에는 $32,886 그리고 2023년에는 $33,745란다. 원화로 환산하면 1인당 대략 4천만원 이상이니, 2인가구면 8천만원 이상 그리고 4인가구면 1억6천만원 이상이어야 하는데 체감하는 국민들이 얼마나 될지 모르겠다.
휴식
Doctor : “Your husband needs a rest. Send him to the seaside.”
Wife : “He can’t get away, doctor.”
D : “Then you go.”
의사 : “남편께서는 휴식이 필요하네요. 해변으로 보내세요.”
아내 : “그 양반 떠날 수 없어요, 선생님.”
의사 : “그러시다면 부인께서 떠나세요.”
(유머인생 - 한국경제신문 연재 해외유머 걸작선)
'강원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천 평화의 댐 & 서울 물바다 (139) | 2024.03.21 |
---|---|
양구 백자박물관 & 직연폭포 (107) | 2024.03.17 |
파로호 한반도 섬 전망대 & 팔랑폭포 (194) | 2024.02.29 |
양구의 펀치볼과 두타연 (142) | 2024.02.22 |
양구 인문학박물관 & 철학자 김형석과 안병욱 (145) | 2024.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