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20)

진경산수화 (眞景山水畵) 길
인왕산은 북악산을 진산으로 한 우백호의 산으로 작고 아담한 산이지만 아름다운 명산의 하나여서 진경산수화의 대상이 되었던 산이기에 진경산수화길이라는 이름을 붙인 모양이다.
인왕산 호랑이는 전설 속에만 있는 호랑이가 아니라 내 글 “인왕산 호랑이 그리고 윤동주 시인의 언덕”에서 얘기했듯이 팔팔하게 살아가고 있다. 하던대로 할 일이지 호랑이를 멋지게 만든다고 사자를 닮은 호사랑이를 만들어 버렸다.
![]() |
![]() |

청운 문학도서관
여기에서부터 진경산수화길이 시작된다.
수려하게 한옥 형태로 지어진 도서관의 1층에는 창작실과 세미나실이 있고, 지하에는 일반열람실과 어린이 열람실 그리고 다목적실 등이 있으며, 도서관의 끝자락에서부터 진경산수화가 펼쳐진다.
![]() |
![]() |
![]() |
![]() |
![]() |
![]() |


진경산수화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는 중국의 산천이 아니라 금강산을 비롯하여 우리의 실제 산천을 그린 그림으로 인왕산을 그린 그림으로는 겸재 정선(謙齋 鄭敾. 1676∼1759)의 “인왕제색도(仁旺霽色圖)”와 강희언(姜熙彦. 1710∼1754)이 그린 “인왕산도(仁王山圖)”가 대표적인 것 같다.

![]() |
![]() |
![]() |
![]() |

청운공원
![]() |
![]() |
![]() |
![]() |
![]() |
![]() |
![]() |
![]() |
다시 진경산수화
![]() |
![]() |
![]() |
![]() |

위항문학(委巷文學)
여항문학(閭巷文學)이라고도 하며, 주로 한시를 가리키는 개념이지만, 넓게는 시조와 가사 등을 포함한 산문에 이르기까지 중인계층에 의해 창작된 모든 문학작품을 일컫는다고 한다.

![]() |
![]() |
![]() |
![]() |

시인 이상 & 화가 구본웅
이상의 집은 통인시장 옆에 복원되어 있으며, 이상 구본웅 이중섭은 모두 다 인왕산과 인연이 깊은 분들이다.
![]() |
![]() |

이중섭
이중섭(1916∼1956)과 김환기(1913∼1974) 화백은 일본에서 함께 미술 공부를 했다는데, 이중섭은 가난에 찌들어 가족 건사는커녕 그림 그릴 종이도 부족했던 반면에 추상화의 대가가 된 김환기는 창의문(자하문) 너머 부암동에 “환기미술관”이라는 개인 미술관을 남겼으며 그의 대표작으로는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가 있다.

![]() |
![]() |

윤동주 문학관에서 시작하여 수성동계곡에서 끝나는 진경산수화길은 어느 때 걸어도 좋은
길이겠지만, 여름에 걸으면 특별한 길이 될 것 같다.
수성동 계곡과 서촌까지 올리면 너무 길어져서 별도로 한 꼭지 올릴 생각이다.
'서울 & 주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늘공원 & 저녁노을 (0) | 2020.12.07 |
---|---|
노을공원 & 메타세과이어길 (0) | 2020.12.05 |
인왕산 호랑이 그리고 윤동주 시인의 언덕 (0) | 2020.11.18 |
서서울 호수공원 (0) | 2020.10.09 |
황톳길 (0) | 2020.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