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1.13)
덕포진(德浦鎭) 토성(土城)과 포대(砲臺)
지난해에는 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찜통더위가 예보되면 이곳 덕포진으로 여러 번 피서를 왔었는데 올해는 별로 기억이 없다. 그 사이에 산책로의 매트를 새로 깔았고 토성 위의 산책로는 모두 폐쇄하는 등 손질을 했으며 오늘도 기대했던 대로 조용하다.
30여 년 전에는 사람들이 이곳을 몰라서 조용했지만, 어느 때부터는 주말이면 사람들이 제법 많이 찾지만 그래도 주중의 오전이나 오후에 낙조를 볼 수 있는 시간대면 대체로 조용하다.
이 길은 대명리포구에서 문수산까지 평화누리길 제1코스이기도 하다.
주사(舟師) 손돌 공 묘
몽골의 침략으로 고려가 개경을 포기하고 강화도로 천도하면서 왕이 강화도로 가기 위해 염하강이라 불리는 바다를 건널 때 배를 노 저어 가던 사공 손돌을 의심하여 참수하였다가 훗날 그게 아니었다는 걸 알고 후하게 장례를 치러주었다고 한다.
김포에서는 왕에게 충성을 다하다가 억울하게 죽임을 당한 손돌을 기려 매년 음력 10월 20일에 진혼제를 올리는데 이를 손돌제(孫乭祭)라 한다.
광성보 용두돈대 및 손돌목돈대와 손돌목
김포 대곶면에 있는 손돌의 묘에서 바라보는 건너편 강화도의 광성보에 소속된 용두돈대와 손돌목돈대는 이런 모습이며 강화도의 용두돈대와 김포의 손돌 묘 사이를 흐르는 염하강은 이곳에 암초가 많고 물흐름이 빠른 여울을 이룬다.
오늘은 빡세게 걸어야 될 이유도 없고, 한동안 집 주변만 맴돌았으니 가슴이 탁 트이는 곳으로 콧바람 좀 쐴 겸 나선 길이니 옛 추억의 흔적들을 확인하며 하늘하늘 걷는다.
부래도(浮來島)
옛날이 참 재미있고 좋았을 것 같다.
왜냐하면 산이 걸어 다니고 달리기도 하였으며 섬이 둥둥 떠다니기도 하는 동화 속 같은 세상이었으니 말이다. 이 부래도도 둥둥 떠내려오다가 이곳에 터 잡았다니 아마도 김포 대곶면 신안리가 명당인 모양이다.
그림처럼 예쁜 염하강의 꼬막만 한 섬 부래도를 그대로 못 둬서 내년 완공을 목표로 출렁다리를 건설한다고 하니, 코딱지만 한 섬에 둘레길 만들자면 섬이 골병들지 않겠나. 출렁다리니 뭐니 쓸데없는 짓거리 하지 말라고 기러기들이 시위를 하고 있다.
펄톱 & 갈대밭
사전에는 없는 말이지만 “모래톱”에 견주어 개펄이 쌓여 형성된 개펄 땅에 갈대가 무성하게 우거져 새를 비롯한 많은 생명체들의 안식처가 되고 있다.
방아개비와 일모도원(日暮途遠)
가을은 점점 깊어져 겨울로 치닫고 있고, 갈 길은 먼데 날은 저물어간다.
게다가 한쪽 다리까지 잃었으니 이를 어찌할꼬.....
춘추벚꽃
이 녀석이 봄과 가을, 일 년에 두 번 꽃을 피우는 춘추벚나무이고 추(秋) 벚꽃인데 내가 조금 늦어서 꽃이 다 지고 이삭만 남았다. 신기하기도 하지만, 부래도가 있으니 이런 춘추벚꽃도 당연히 있어야 구색이 맞을 것 같다.
숭어가 뛰니 망둥이도 뛴다고, 장미와 철쭉이 장단을 맞춘다.
![]() |
![]() |
차를 마시려고 산국을 조금 따왔다.
대명포구에서 물메기(물텀벙이)를 사가지고 와서 난생처음으로 집에서 물메기맑은탕을 끓였는데 시원하고 얼큰한데다 물메기 살이 마치 순두부 같아서 입안에서 설설 녹아버린다.
이 녀석은 생긴 것부터 흐물흐물하다.
이렇게 행복한 하루였다.
'김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정산 & 금정사 그리고 보각(普覺) 스님 (0) | 2021.09.29 |
---|---|
김포 문수산 문수산성 & 문수사 (0) | 2021.04.03 |
김포 장릉(金浦 章陵) (0) | 2020.10.11 |
김포 문수산 & 문수산성 (0) | 2019.10.11 |
평화누리길 제1코스 : 초지대교 ∼ 강화대교 (0) | 2019.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