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클릭하면 커집니다.)
두무진(頭武鎭)
백령도 두무진은 대한민국 명승 제8호로 백령도를 대표하는 절경의 명소다. 백령도 북서쪽에 있는 두무진포구로부터 남동쪽에 있는 천안함 위령탑 쪽으로 약 4㎞에 걸친 해안선으로 오랜 세월동안 파도와 비바람이 빚어낸 높이 50여m 내외의 규암(硅岩) 절벽이다.
인천항 ∼ 백령도
인천에서 서해 최북단의 섬 백령도까지는 228km로 서울시청에서 대전을 지나 영동군청까지와 비슷한 거리인데, “코리아 프라이드” 이 배가 소청도와 대청도에 입출항을 하며 약 3시간 40분에 주파하니 대략 시속 70km 정도의 속도로 물위를 달리는 여객선이니 놀랍기만 하다.
인천연안여객터미널은 그야말로 북새통(주말이어서 심했는지 모르겠다.)이고, 경유지인 소청도와 대청도에서 내리고 타는 사람은 소수이며 절대다수는 인천∼백령도(또는 백령도∼인천)이다.
울릉도와 독도가 망망대해인 태평양으로 열려있어 풍랑에 민감한데, 서해에 있는 백령도 또한 풍랑과 해무(海霧)에 민감하므로 일기예보를 관찰할 필요가 있는데 출항금지가 되면 발이 묶이기 때문이다. 또한 파도가 1m 정도만 돼도 뱃멀미하는 사람들이 꽤 많다.
경유지 - 소청소 & 대청도
두무진 포구
백령도는 우리나라에서 8번째로 큰 섬이며, 백령도에서 북한의 장연과 가장 가까운 곳은 10km 정도의 거리라고 하니, 서울시청에서 영등포역 정도의 거리다. 그러나 국경, 경계, 선 이거 참 희비가 엇갈리는 단어다.
그나마 백령도는 육안으로 식별하기도 어렵고 육성이 통하지 않는 거리지만 나처럼 서로 육성이 들리는 DMZ 안의 GP에서 군 생활을 한 사람들에게는 상황의 긴박성과 밀도가 많이 다르게 느껴진다. 그 단적인 예로 백령도는 관광이 허용되는 곳이지만 육지에서는 남방한계선의 일정 거리 밖이 민통선이다.
하여간 여기에서부터 배를 타고 백령도의 간판 두무진을 약 1시간 정도 둘러본다. 그렇게 두무진을 둘러보고 나오는 길에 우연히 발견한 담장의 보리수나무(마지막 사진), 이거 정말 예술이다. 이런 예술을 만드신 분을 뵙지는 못했지만 자신의 삶에 당연히 자부심을 가지신 분이라 생각된다.
![]() |
![]() |
두무진 선상유람
두무진이라는 이름은 뾰족한 바위들이 머리털처럼 많아 “두모진(頭毛鎭)”이라 부르다가 나중에 장군들의 머리와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다하여 “두무진(頭武鎭)”이라 하였다는데, 보는 사람의 관점과 생각의 선택일 거 같다.
![]() |
![]() |
![]() |
![]() |
![]() |
![]() |
![]() |
![]() |
![]() |
![]() |
![]() |
![]() |
두무진의 진객 점박이물범
운 좋게 썰물 때를 만나서 점박이물범들이 바위 위로 올라오면 “이상규 님의 사진”처럼 멋진 모습을 볼 수 있다는데 나는 밀물을 만나서 자맥질하는 모습만 잠깐 바라보았다.
![]() |
![]() |
두무진 둘레길
선상유람을 마치고 둘레길을 걸으며 두무진을 살펴보는데, 두무진에 솟아 있는 바위들은 그 모양에 따라 병풍바위, 선대암, 신선대, 장군바위·촛대바위, 코끼리바위, 형제바위 등의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 특별한 이야기나 유래는 없고 바위들의 형상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니 보는 사람의 관점에 따라 다양한 상상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 |
![]() |
![]() |
![]() |
![]() |
![]() |
이렇게 해서 아껴두었던 버킷리스트 하나를 지운다.
문득 오늘 보니, 앵두가 너무나 예쁘게 잘 익었다. 너무 예뻐서 따먹기가 아깝다.
백령도&심청과 인당수 https://amigohula.tistory.com/6748561
'인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무의도 & 실미도의 가을 (0) | 2023.10.20 |
---|---|
백령도 & 심청과 인당수 (80) | 2023.06.04 |
아라뱃길 – 경인운하 (201) | 2023.04.23 |
실미도 & 실미해수욕장 (148) | 2023.01.07 |
환상의 길 & 호룡곡산 & 하나개해수욕장 (99) | 2022.12.28 |